티스토리 뷰

 

2025년, 파주시는 경기 침체와 물가 상승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시민들을 위한 민생회복 생활안정지원금을 지급합니다. 이는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고 시민들의 생활 안정을 도모하기 위한 지원책으로, 파주시에 주민등록이 되어 있는 내국인이라면 누구나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지원금의 주요 내용, 신청 방법, 사용처, 유의사항 등을 상세히 안내해드리겠습니다.

 

 

파주시 민생회복 지원금 전용 누리집

 

2025 파주시 민생회복 생활안정지원금 개요

지원금 주요 특징

2025년 파주시는 시민들에게 10만 원민생회복 생활안정지원금을 지급합니다. 이 지원금은 현금이 아닌 지역화폐인 파주페이 형태로 지급되며, 지급일로부터 2025년 6월 30일까지 사용할 수 있습니다. 지급 대상은 2024년 12월 26일 기준으로 파주시에 주민등록이 되어 있는 내국인이며, 외국인은 제외됩니다.

 

지급 형태 및 사용 기한

지원금은 파주페이로 지급되며, 이는 파주시에서 지정한 가맹점에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지원금은 지급 승인일부터 2025년 6월 30일까지 유효하며, 기간 내에 사용하지 않은 금액은 자동으로 소멸됩니다. 사용처에 대한 제한이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신청 방법 및 기간

신청 기간

20251월 21일부터 2월 20일까지 신청이 가능합니다. 신청 첫 주(1월 21일~24일)에는 혼잡을 방지하기 위해 생년 끝자리 기준으로 4부제가 적용됩니다. 예를 들어, 1월 21일에는 생년 끝자리가 1이나 6인 사람이 신청할 수 있습니다.

 

 

온라인 신청

온라인 신청은 파주시 민생회복 지원금 전용 누리집에서 진행됩니다. 신청 방법은 간단한 본인 인증을 통해 인적사항을 입력하고, 신청을 완료하면 문자로 접수 확인 알림을 받게 됩니다. 온라인 신청은 오전 9시부터 오후 10시까지 가능합니다.

 

 

오프라인 신청

오프라인 신청은 각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서 가능합니다. 이때 필요한 서류는 신분증과 주민등록등본이며, 기존에 파주페이 카드를 보유한 경우 별도의 발급 절차 없이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 오프라인 신청은 평일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운영됩니다.

 

 

지원금 사용처 및 유의사항

사용처

지원금은 파주페이 가맹점에서만 사용 가능합니다. 대형마트, 백화점, 온라인 쇼핑몰에서는 사용할 수 없으며, 주요 사용처는 전통시장, 소규모 상점, 연매출 12억 원 이하의 가맹점입니다. 지역 상점과 전통시장을 활성화하려는 의도가 담겨 있습니다.

 

 

사용 기한

지원금은 지급 승인일부터 2025년 6월 30일까지 사용할 수 있습니다. 기한 내에 사용하지 않으면 잔액이 자동 소멸되므로, 기한 내에 반드시 사용해야 합니다.

 

 

파주페이 발급 및 관리

기존에 파주페이를 보유한 경우 별도의 발급 절차 없이 바로 사용 가능하며, 신규 발급자는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카드를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유의사항 및 자주 묻는 질문

유의사항

온라인 신청은 성인만 신청할 수 있으며, 대리 신청은 불가능합니다. 미성년자는 부모가 세대주나 세대주의 배우자인 경우에만 합산 신청이 가능합니다. 오프라인 신청은 동일 세대원이나 직계존비속이라면 대리 신청이 가능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 외국인도 지원금을 받을 수 있나요?
    • 아니요, 지원금은 내국인만 받을 수 있습니다.
  • 지원금을 현금으로 받을 수 있나요?
    • 아니요, 지원금은 파주페이로만 지급됩니다.
  • 가족 구성원이 모두 한 번에 신청할 수 있나요?
  • 미성년자는 부모와 함께 합산 신청할 수 있으며, 성인은 개별 신청해야 합니다.

2025년 파주시는 민생회복 생활안정지원금을 통해 시민들의 경제적 부담을 덜고,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는 중요한 정책을 펼치고 있습니다. 전통시장과 소상공인 가맹점을 적극적으로 이용하면서 지역 경제에도 기여할 수 있는 좋은 기회입니다. 온라인과 오프라인 신청이 가능하므로, 기간 내에 잊지 말고 신청해 보세요. 파주페이를 사용하여 파주 지역의 다양한 상점에서 혜택을 누리실 수 있습니다.

 

파주시 민생회복 지원금 전용 누리집

 

댓글